나의 이야기

경제용어- 2011 0416

얼릉얼릉 2011. 4. 17. 09:54

 

 

 

가치연쇄 (Value Chain) 

개별 리스크 (Unique Risk) 

개별원가 계산 (Job-order Cost System) 

경상이익 (Recurring Profit, Ordinary Profit) 

경영안전율  경영전략 (Business Strategy) 

경합분석 (Conflict Analysis) 

경험곡선 (Experience Curve) 

고객가치 (LTV) Life Time Value 

고객분석 (Customer Analysis) 

고객진화 (Customer Evolution) 

고정비 (Fixed Costs) 

고정비율 (Fixed Rate) 

고정자산 회전율 (Fixed Assets Turnover) 

고정장기적합율 (Ratio of Fixed Assets to Long-term Capital) 

과세전 당기이익 (Pretax Profits) 

관계 마케팅 (Relationship Marketing) 

관리회계 (Managerial Accounting) 

귀납적 논리전개 (Inductive Method) 

기능별 조직 (Functional Structure) 

기업회계 원칙 (Accounting Principles)   

 

 

 

가치연쇄 (Value Chain) 

 

    "외부환경을 분석하는 「파이브포스 분석」「Advantage Matrix」에 대해, 내부환경의 분석을 하는 것이 가치연쇄이다. 사업활동을 매 기능으로 분해하고, 어떤 부분에서 경쟁 우위성을 구축하는게 가능한지, 또는 약점이 있는지를 분석, 평가하는 framework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의 흐름」에 주목하고, 주 활동을 「구매」「개발」「제조」「판매」「서비스」로 분할하여, cost leadership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분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지, 또는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어디에서 우위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 어디서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지등의 분석에 사용한다. 또, 직접 물품의 흐름에 관여하지 않는 지원활동도 「조달활동」「기술개발」「인사, 노무관리」「전반관리」의 네개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 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에 있어서도 경쟁우위성 구축의 대상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Strategy p146)" 

 

 

 

개별 리스크 (Unique Risk) 

 

    "기업과 업계의 개별사정과 요인에 따라 야기될 불확실성을 말함. 예를 들어, 거래처가 도산하여 채권이 회수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든지, 위험관리가 철저하지 못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해도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회사의 신용을 잃을 우려가 있는 것등 (Corporate finance p70)." 

 

 

 

개별원가 계산 (Job-order Cost System) 

 

    "종류가 틀린 제품, 프로젝트마다에 원가를 집계하는 방법. 직접 관련된 제조비를 제품마다로 나누는 것은 쉽지만, 간접적으로 관련된 제조비 (예를 들어, TV와 비디오등을 제조하는 경우, 공통의 기계를 사용할 때의 그 비용등)를 산출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때에는, 직접 작업시간, 기계시간, 점유면적, 직접노무비등의 비율을 근거로 제조간접비가 배분될 수 있다. (Accounting p124)" 

 

 

 

경상이익 (Recurring Profit, Ordinary Profit) 

 

    "「영업이익」에 본래의 사업활동 이외에서의 수익과 비용의 가감을 계산한 이익. 경상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 수익 ? 영업외 비용 영업외 이익이라는 것은, 수취배당금이나 수취이자등 본래의 영업활동 이외에서 생기는 수익을 말하며, 영업외 비용이라는 것은 지불이자등 본래의 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한다. 따라서, 재무활동을 포함한 기업의 경상적인 수익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기업의 판단재료로서 경상이익이 중시되지만, 해외에서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과세전 이익이 대신 사용된다." 

 

 

 

경영안전율 

 

    "손익분기점 매출액과 실제의 매출액을 비교하여, 기업의 불황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는 것. 지금보다 매출이 얼마나 떨어지면 적자가 되는지 (정확하게는, 적자와 흑자의 분기점이 되는지, 즉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구체적인 식은, (실제의 매출액 ? 손익분기점의 매출액/실제의 매출액) x 100(%)이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불황 (즉, 매출의 감소)에 강한 것이 된다. (Accounting p118)" 

 

 

 

경영전략 (Business Strategy) 

 

    "경영이념에 입각한 기업활동의 장기적 방향 설정. 올바른 방향 (전략)으로 나아가기 위해, 구체적 수단 (전술)과의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Marketing」「Critical thinking」「Accounting」「Corporate finance」「Human resource」등에서 분석한 정보를 사용하여 신규참여인지, 철수인지, 기업재구성인지, 투자인지등, 전체적인 관점에서 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정한다. 전략을 입안하는 과정에서는, 경영을 해 나갈 때의 축이 되는 목적과 가치관, 즉 「경영이념」을 확립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그 경영이념에 입각하여, ① 기업전략 ⇒ ② 사업전략 ⇒ ③ 기능별 전략으로, 단계적으로 전체적인 관점에서 부분적인 관점으로 전략을 결정해 나간다. (Strategy p28)" 

 

 

 

경합분석 (Conflict Analysis) 

 

    "기업의 외부환경중, 경쟁업자에 대한 환경분석. 경쟁업자에는 기존업자, 신규참여업자, 대체품 취급업자등이 있다. 수순은, 우선 경합상대를 특정한 후에, 그 상대의 경영자원, 경쟁전략, 목표, 제품, 입지등을 분석하고, 강점과 약점을 추출한다. (Marketing p38, Strategy p56~65)" 

 

 

 

경험곡선 (Experience Curve) 

 

    "누적생산량이 증가할 때마다, 경험에 의해 제품단가당 코스트가 삭감되는 것. Cost leadership을 실현하기 위한 조건의 하나. Ford사의 T형 Ford의 생산은, 벨트 콘베이어에 의한 흐름작업 도입과, 철저한 분업화 (나사를 만드는 사람은 계속 나사만, 엔진을 만드는 사람은 계속 엔진만 만든다고 하는 분업) 에 의해, 대량생산을 Low cost로 진행한 것이 특징적이었는데, 이것은 경험곡선의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이렇게 낮은 가격으로 단순화된 T형 Ford에 대해 GM (General Motors)는 상급지향으로 특화하여, 곧 「단순, 저가」라는 Fordism을 쇠퇴시켜 버렸다. (Strategy p139)" 

 

 

 

고객가치 (LTV) Life Time Value 

 

    "고객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 구입하는 서비스의 전부. LTV = 고객 1인당의 연간이익 x 평균수명 x 할인율의 식으로 산출된다. (Marketing p158)" 

 

 

 

고객분석 (Customer Analysis) 

 

    "마켓환경 분석에서의 외부 분석은, 크게 나눠 매크로환경 분석과 마이크로환경 분석 (경합분석과 고객분석)으로 나뉘지만, 마이크로 분석의 하나인 고객분석에서는 기본적 속성과 소비자 행동이라는 두가지로 분석한다. 기본적 속성의 분석이란, 소비자를 분할하여 (예를 들면, 연령이라는 분할기준에서 10대, 20대,,,,,등으로 나눔), 매 분할그룹들이 기업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소비자 행동의 분석은 「구매결정 단계」로 불리는 「문제인지 ⇒ 정보탐색 ⇒ 대체품평가 ⇒ 구매결정 ⇒ 구매후의 행동」(Marketing p37 참조)의 각 단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한다 (Marketing p36)" 

 

 

 

고객진화 (Customer Evolution) 

 

    "기업이 장기적인 고객유지의 노력을 통해, 일반의 고객이 「단골손님」에서 「지지자」로, 또한「대변자, 옹호자」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기업의 「파트너」로 질적으로 진화를 해 가는 과정을 말함. 기존고객의 유지비는, 신규고객의 개척보다 훨씬 저렴하고, 매출에 대한 공헌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객의 장기적인 유지가 중요하다 (Marketing p162)" 

 

 

 

고정비 (Fixed Costs) 

 

    "매출액의 증감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을 말함. 예를 들어, 기업이 사무실로 빌딩의 1실을 임대하는 경우, 그 기업이 얼마를 벌든, 아니면 손실이 나든, 그 임대료는 월 00만엔등의 일정한 금액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임대료는 고정비라고 할 수 있다. (Accounting p96)" 

 

 

 

고정비율 (Fixed Rate) 

 

    "고정자산이 어느 정도, 변제의 의무가 없는 자기자본에 의해 조달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고정비율 = 고정자산/자기자본으로 구하기 때문에, 고정장기적합율보다 엄하게 고정자산의 조달, 운용의 균형을 꾀하고 있다. 차입에 의한 자금조달이 많은 일본의 기업은, 관습적으로 이 수치가 높다. (Accounting p76)" 

 

 

 

고정자산 회전율 (Fixed Assets Turnover) 

 

    "고정자산의 운용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고정자산 회전율 = 매출액/고정자산으로 구할수 있다. 고도성장기에는 비약적인 성장을 상정해, 기업은 많은 금액의 차입을 통해 설비투자를 했지만, 거품 붕괴후 차례로 도산하였다. 과도한 설비투자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설비투자가 적은쪽이 좋은가라고 한다면, 단연코 그렇지는 않고, 기업이 성장해 가는데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설비투자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고정자산 회전율이 너무 높은 회사도, 너무 낮은 회사도 위험하다고 보는 것이 좋다고 한다. (Accounting p71)" 

 

 

 

고정장기적합율 (Ratio of Fixed Assets to Long-term Capital) 

 

    "고정자산이, 자기자본과 장기간에 걸쳐 변제할 고정부채에 의해 어느 정도나 조달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고정장기적합율 = 고정자산/(자기자본 + 고정부채)로 구한다. 일반적으로, 단기차입금을 재원으로 고정자산을 구입하는 것은 자금회전에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내구년수가 30년인 건물을, 1년 이내에 변제할 단기차입금으로 조달하면, 건물이 수익을 내기 전에 차입금의 변제기한이 도래하기 때문에, 자금 압박요인이 된다. 손익계산서에서는 흑자이지만 채무변제가 불가능하게 되어 도산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이다. (Accounting p76)" 

 

 

 

과세전 당기이익 (Pretax Profits) 

 

    "「경상이익」에 「특별이익」을 가산하고, 「특별손실」을 감산한 이익. 과세전 당기이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 ? 특별손실 (Accounting p46)" 

 

 

 

관계 마케팅 (Relationship Marketing) 

 

    "고객 창조형의 마케팅은, 신규고객의 획득만을 중시하고, 기존 고객에 대한 배려, 즉 고객 이탈을 방지하는 활동의 가치는 경시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관계 마케팅은 고객유지형 마케팅이라고도 불리듯이, 고객과의 「관계강화」에 중점을 두어, 기존 고객의 구매를 촉진하고, 고객내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arketing p154)." 

 

 

 

관리회계 (Managerial Accounting) 

 

    "기업내부의 경영관리에 관여하는 관계자에 대해, 경영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경영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회계영역을 말한다. 이익관리를 중심으로, 원가관리, 자금관리, 예산관리등의 분야가 있다. 경영의 실적을 외부 이해관계자 (주주, 채권자, 거래처, 종업원등) 에게 정확히 기록,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재무회계와는 구별된다 (Accounting p24)" 

 

 

 

귀납적 논리전개 (Inductive Method) 

 

    실제로 존재하는 몇 개의 구체적인 예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해, 그 구체적인 사례를 근거로 하여 결론을 추측하는 사고방법 (Critical thinking p56) 

 

 

 

기능별 조직 (Functional Structure) 

 

    "연구원은 개발부문, 영업은 판매부문이라는 식으로, 매 기능을 동일부문으로 모은 조직을 일컬음. 이 조직형태는 사업형태가 비교적 단순한 조직에 적합하다. 기능별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기 쉽고, 전문성을 쉽게 높일 수 있어, 전문가의 육성이 용이하지만, 각 기능간에 대립하거나, 다방면에 능통한 제네랄리스트를 육성하지 못하는등의 단점이 있다 (Human resource p80)" 

 

 

 

기업회계 원칙 (Accounting Principles) 

 

    "기업회계 실무에 있어서 관습으로서 발달한 것으로, 일반에게 공정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것.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회계를 하는데 있어서 존중해야만 할 기준이다. 주로, 「일반원칙」, 「손익계산서 원칙」, 「대차대조표 원칙」이라는 세 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이들 세 개의 원칙에 근거하여 회계처리와 재무제표의 작성을 한다. (Accounting p32)"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면서  (0) 2016.03.15
-하늘모습경전-  (0) 2011.04.17
천부경 1  (0) 2011.04.17
마음은 누구의 것인가?  (0) 2011.01.19
첫 글을 남기면서  (0) 2010.12.21